경제이슈

1인 세대 1000만 시대, 우리 사회는 준비하고 있는가?

metak 2025. 4. 8. 23:24

지난 주말, 서울 마포구의 한 원룸촌을 찾았다. 20~30대로 보이는 청년들이 혼자 장을 보고, 혼자 식사를 하고, 혼자 여가를 즐기는 모습이 눈에 띄었다. 한 청년은 작은 테이블에 노트북을 펼치고 음식을 배달시켜 먹으며 영화를 보고 있었다. 또 다른 이는 작은 화분에 물을 주며 자신만의 공간을 가꾸고 있었다. 이러한 풍경은 더 이상 특별한 광경이 아니다. 전국의 1인 세대가 2025년 3월 처음으로 1000만 세대를 넘어섰다. 

 

행정안전부의 주민등록 인구통계에 따르면 1인 세대가 전체 세대의 41.8%로 그 비중이 가장 높았다. 연령별로 보면 60~69세가 185만 1705세대로 가장 많았다. 30~39세가 168만 4651세대, 50~59세가 164만 482세대 순이었다. 70대 이상도 198만 297세대로 높은 비중을 차지했다.

 

이러한 통계는 우리 사회의 가족 구조와 생활양식이 급격히 변화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불과 20년 전만 해도 '정상 가족'의 개념은 부모와 자녀로 구성된 4인 가족이었다. 그러나 이제 가장 흔한 가구 형태는 혼자 사는 1인 가구가 되었다. 이는 단순히 숫자의 변화가 아니라 주거, 소비, 문화, 복지 등 사회 전반에 걸친 패러다임의 전환을 의미한다.

 

 

그러나 1인 세대의 급증에도 불구하고 우리 사회의 인프라와 제도는 여전히 다인 가구 중심으로 구축되어 있다. 주택 정책은 3~4인 가족을 기준으로 설계되어 있으며, 식품 포장과 판매 단위도 다인 가구에 맞춰져 있다. 또한 1인 가구의 경제적 부담은 다인 가구에 비해 상대적으로 크다. 임대료, 공과금, 생필품 구매 등에서 규모의 경제가 적용되지 않아 1인당 생활비 부담이 더 크기 때문이다. 더욱 심각한 문제는 고령 1인 가구의 증가로 인한 고독사 위험과 사회적 고립의 문제다.

 

이러한 상황에서 1인 세대를 위한 사회적 지원과 정책 변화가 시급하다. 우선, 1인 가구의 특성과 니즈에 맞는 주거 정책이 필요하다. 최근 서울시가 시행하고 있는 '청년 공유주택'이나 '세대 융합형 주택' 등의 모델은 좋은 시도다. 또한 최근 연구에 따르면 1인 가구는 다인 가구에 비해 정신 건강 문제를 겪을 확률이 1.5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위해 지역사회 기반의 사회적 관계망 구축과 심리 지원 프로그램이 확대되어야 한다. 경제적 측면에서는 1인 가구의 생활비 부담을 줄일 수 있는 세제 혜택이나 공과금 감면 등의 정책이 검토될 필요가 있다.

 

1000만 1인 세대 시대는 이미 우리 앞에 와 있다. 이는 단순한 통계 숫자의 변화가 아니라 우리 사회의 근본적인 변화를 의미한다. 가족의 개념, 주거의 형태, 소비 패턴, 복지 시스템 등 사회 전반의 재구성이 필요한 시점이다. 1인 세대를 위한 맞춤형 정책과 사회적 지원이 확대될 때, 이들이 사회의 건강한 구성원으로 살아갈 수 있는 토대가 마련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