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4/06 5

기후플레이션, 경제와 환경의 교차점

2024년 여름, 유럽 전역을 강타한 기록적인 폭염으로 인해 농산물 가격이 급등했다. 밀과 옥수수 생산량이 급감하면서 세계 곡물 시장은 혼란에 빠졌고, 유럽의 식료품 가격은 평균 15% 상승했다. 같은 해 미국에서는 허리케인 '아이리스'가 플로리다 지역을 강타하며 주택 보험료가 25% 이상 상승했고, 에너지 공급망까지 영향을 받았다. 이러한 사례들은 기후 변화가 경제에 미치는 영향을 단순한 환경적 문제를 넘어선 새로운 경제적 현상으로 부각시키고 있다. 기후플레이션은 기후 변화로 인해 발생하는 물가 상승을 의미한다. 이는 자연재해와 극단적 기후 현상이 농업, 에너지, 보험 등 주요 산업에 영향을 미쳐 상품과 서비스의 가격을 끌어올리는 현상으로 정의된다. 예를 들어, 폭염은 농작물 생산량 감소를 초래하고, ..

경제이슈 2025.04.06

욜로족 실업급여, 제도의 허점인가 새로운 트렌드인가

지난 주 페이스북에서 한 20대 직장인의 하소연이 뜨거운 논쟁을 일으켰어요. "나는 독립을 위해 매달 적금하고 절약하는데, 내 친구들은 실업급여로 필러 맞고 쇼핑한다"라는 내용이었죠. 그는 같은 또래 친구들이 일과 실업을 반복하며 실업급여를 9번이나 받아 성형과 여행에 사용하는 모습에 허탈감을 느꼈다고 토로했습니다. 이 사례는 실업급여가 본래 취지와 달리 새로운 소비 문화와 결합되는 현상을 보여줍니다. '욜로(YOLO)'는 "You Only Live Once(인생은 한 번뿐)"이라는 철학을 따르는 사람들을 말해요. 이들은 미래보다 현재의 행복을 우선시하며, 여행, 취미생활, 자기계발에 적극 투자합니다. 문제는 일부 욜로족이 실업급여를 이런 라이프스타일의 자금원으로 활용한다는 점이에요. 실업급여는 원래 갑..

경제이슈 2025.04.06

AI 패권 전쟁, 인류가 맞닥뜨린 기술적 딜레마

2025년 2월 11일, 중국 스타트업 딥시크(DeepSeek)가 공개한 초거대 AI 모델 '디지털 드래곤'은 세계 기술 지형을 뒤흔들었다. 이 모델은 실리콘밸리 기업들의 최신 제품을 능가하는 성능을 보이며, 생성형 AI 분야에서 중국의 도약을 알렸다. 발표 직후 미국 나스닥 지수는 3.2% 급락했고, 중국 상하이 종합지수는 4.7% 상승했다. 이 사건은 단순한 기술 경쟁을 넘어, AI 패권을 둔 미중 간 새로운 냉전의 서막으로 평가받고 있다. AI 패권 전쟁은 국가 간 인공지능 기술 우위를 통해 경제·군사적 주도권을 장악하려는 경쟁을 의미한다. 미국은 오픈AI·엔비디아 등 민간 기업 중심의 혁신 생태계를 앞세우고, 중국은 국가 주도로 2030년까지 1,500억 달러 규모의 AI 산업 육성 계획을 추진 ..

경제이슈 2025.04.06

서학개미, 글로벌 투자 열풍의 빛과 그림자

2025년 초, 미국 주식 시장에서 한 가지 흥미로운 현상이 포착되었다. 한국 개인 투자자들, 이른바 '서학개미'들이 특정 기술주와 레버리지 ETF에 대규모로 투자하며 시장에 강력한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이다. 예를 들어, 양자컴퓨팅 기업 리게티컴퓨팅의 주가는 서학개미의 집중 매수로 한 달 만에 1400% 폭등했다가 이후 고점 대비 55% 폭락했다. 이러한 사례는 서학개미의 투자 방식이 미국 증시에서 새로운 변수로 작용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서학개미란 무엇인가? 이는 미국 주식 시장에 투자하는 한국 개인 투자자들을 지칭하는 용어다. 이들은 높은 성장 가능성을 가진 기술주나 레버리지 상품에 집중하며, 한국 주식 시장의 낮은 수익률과 제한된 투자 기회를 넘어 글로벌 시장으로 눈을 돌리고 있다. 특히 인공지능..

경제이슈 2025.04.06

트럼프의 관세폭탄, 세계 경제의 새로운 불확실성

2025년 4월 2일,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백악관 로즈가든에서 선언한 대규모 관세 정책은 글로벌 금융시장을 강타했다. 이른바 '해방의 날(Liberation Day)'로 명명된 이 날, 트럼프는 모든 국가의 수입품에 기본 10% 관세를 부과하고 중국에는 34%, 베트남에는 46%, 한국에는 25%라는 추가 관세를 얹었다. 발표 직후 나스닥은 6%나 폭락했고, 글로벌 공급망은 즉각적인 혼란에 빠졌다. 단 하루 만에 세계 무역 질서가 송두리째 흔들린 것이다. 관세는 국가가 수입 상품에 부과하는 세금으로, 자국 산업 보호와 국가 재정 확보를 위한 정책 수단이다. 트럼프의 관세 정책은 '미국을 다시 위대하게(MAGA)'라는 구호 아래, 무역 불균형 해소와 미국 내 제조업 보호를 표방하고 있다. 그는 "관세가..

경제이슈 2025.04.06